





cosmos(18)
-
Cosmos SDK 기반 체인 configuration (v0.50.X)
2023.06.14 - [Blockchain/Cosmos] - Cosmos SDK 기반 체인 configuration (v0.45.X)2025.04.04 - [Blockchain/Cosmos] - Cosmos SDK 기반 체인 configuration (v0.50.X)이전 글에서 Cosmos SDK의 configuration을 정리를 했었는데, 새로 생겼거나 사라진 값들이 존재하여서 업데이트를 한다.app.toml1. Base configBase configuration은 Cosmos SDK 기반 app chain을 운영할 시 validator node 설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정의한다.minimum-gas-pricesValidator node가 인입된 트랜잭션을 처리할 때 수용할 최소 gas priceE..
2025.04.04 -
Cosmos SDK v0.47.X과 v0.50.X의 구조 차이
현재 시점 Cosmos SDK의 release 버전은 v0.50.X이다. Cosmos SDK는 v0.47.X까지 릴리즈를 하고 단숨에 v0.50.X로 버전을 올렸다. 그만큼 급격한 차이가 존재하는 부분이 생겼기 때문이다. (v0.47.X도 계속 업데이트 중이다.) 모든 변경 부분을 세세하게 언급할 수는 없지만 코어 개발 상 주요하게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 확인한다.비교 대상은 SDK v0.47.5와 v0.50.11이다. (이하 v0.47.X는 구버전, v0.50.X는 신버전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모듈의 패키지화Cosmos SDK의 각 모듈들의 설정이 가장 크게 변경되었다. 모든 모듈이 해당되는 건 아니지만, 몇몇 모듈은 go module로써 별도로 import가 필요하다. 기존에 존재하던 evidence..
2025.03.20 -
Cosmos-SDK transaction의 형식 및 데이터
Cosmos 체인은 모듈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듈 별로 트랜잭션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잭션들은 모듈의 keeper 내에 구현되어 있는 msg-server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기 위한 input 값 전달 매개체의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트랜잭션일 시 (e.g. 정상적인 signature 등) 검증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state DB에 기록되어 진다.EVM의 경우 일반적인 transaction 형식으로 코인 전송, 컨트랙트 배포/실행을 수행하지만 Cosmos는 다양한 형식의 트랜잭션(정확히는 트랜잭션 안의 메시지)을 구현할 수 있어 보다 dynamic한 로직을 구축할 수 있다. 해당 글은 Cosmos SDK 기반 체인들이 사용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과 형식들을 알아본다...
2024.06.24 -
Evmos의 Ethereum Tx 처리
Ethermint로 잘 알려져 있는 Evmos는 Cosmos 기반의 체인에서 ethereum tx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8545 EVM JSONRPC를 지원하여, 기존의 ethereum 개발자는 다른 부가적인 처리 없이 API를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모든 ethereum API를 지원하지는 않지만,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API는 대부분 지원한다. (Evmos에서 지원하는 EVM API는 여기서 확인 할 수 있다.) 많은 수의 dApp 및 서비스가 ethereum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많은 서비스가 Cosmos 진영으로의 매끄러운 온보딩이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에 Evmos의 evm 모듈은 Cosmos 생태계 확장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기술이라 생각된다. ..
2024.01.23 -
Cosmos에서의 gRPC
Cosmos SDK로 구현 가능한 app chain은 여러 통신 방식이 있는데, 그 중 gRPC가 가장 중요하다. gRPC의 개념이나 동작 방식에 대한 좋은 글들은 굉장히 많으니 여기서는 잠깐 개념만 언급하고, Cosmos-SDK에서 gRPC는 어떻게 정의되어 있고 구현되어 있는지에 대한 글을 작성하려 한다. gRPC gRPC(google Remote Procedure Call)는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구글이 개발한 통신 프레임워크이다. 통신 프로토콜로 TCP/IP, HTTP/2를 사용하고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로 protobuf(protocol buffer)를 사용한다. 전송하는 데이터 크기가 작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MSA의 componen..
2023.09.15 -
Inter-Blockchain Communication 구조와 Relayer
Inter-Blockchain Communication은 줄여서 IBC로 불린다. 이 IBC는 Cosmos-SDK 기반 체인 간의 자산 이동 및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 Cosmos 진영이 추구하는 블록체인 인터넷은 결국 체인 간 연결이며, 체인의 연결은 이 IBC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만큼 IBC는 Cosmos 블록체인에서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IBC를 제대로 알아야 Cosmos의 "Interchain"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기에 이번에는 IBC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쳐와 IBC relayer를 통한 실제 IBC token 전송을 확인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IBC IBC는 Cosmos-SDK 기반 체인의 연결을 위하여 ICS(Inter Chain Standard)를 만족하..
2023.07.07